이 연구는 유권자의 투표 참여와 투표방식의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사전투 표에 대한 신뢰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의사결정모 형을 구성한다. 첫째, 유권자가 투표여부를 먼저 결정하고, 투표를 결심한 경우 사전투표와 당일투표 중 선택하는 모형이다. 둘째, 유권자가 사전투표일에 참여 여부를 결정하고, (불참할 경우) 당일투표에 다시 투표의 기회가 주어지는 모형이 다. 셋째, 유권자가 사전투표, 당일투표, 투표불참의 선택지를 놓고 하나를 선택하 는 모형이다. 위의 의사결정모형은 서로 연결된 투표 참여와 투표방식 선택을 다루고 있어 이론모형에 따라 다른 설명변수를 통계모형에 포함하기 어렵다. 선택 방정식에서 자료 절삭의 문제와 결과 방정식에서 이산 종속변수의 문제도 모수 추정 시 고려해야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연구는 사르토리(Sartori 2003)가 제시한 ‘배제제약이 없는 이분결과변수 선택 모형의 추정량(estimator for some binary-outcome selection models without exclusion restrictions)을 활용한다. 분석 결과, 유권자의 사전투표에 대한 신뢰가 낮으면 사전투표보다는 당일투표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 는 의사결정모형을 달리해도 여전히 유효하게 나타난다.
주제어: 사전투표, 당일투표, 투표불참, 투표방식에 대한 신뢰, 이분-결과변수선택모형 추정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