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이 적극적으로 공직 업무를 수행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은 무엇일까?
기존의 연구들은 공무원이 시민과 사회의 안정과 발전을 위해 자발적으로 공적영
역에서 봉사하고자 하는 의지를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
PSM)라고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조직 내 개별구성원들을 지도하며 조언하는 변혁
적 리더십이 비용 및 효과의 거래로 수행되는 거래적 리더십에 비해 공공봉사동기
(PSM)를 촉진한다는 주장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위계적 조직문화의 특성을 온존
하고 있는 한국 공무원 사회에서, 공급자인 리더가 어떠한 유형의 리더십을 제공하
느냐 뿐 아니라, 그것이 과연 수요자인 구성원들에게 제대로 전달되고 있느냐가
구성원들의 공공봉사동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리더십과 협업 및 의사소통이 상호작용을 하여 공공봉사동기(PSM)에 유의
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직생활실태 데이터(2020)
를 활용하여, 공공봉사동기(PSM), 리더십, 그리고 조직 내 협업과 의사소통 정도
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주제어: 공공봉사동기,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의사소통, 로지스틱
회귀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