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연구방법논총
글쓴이: 연구소관리자 주제: 황제욱 -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군 복무 부적합 판정을 받은 환자들의 BGT 수행 특성: 내재화 및 외현화 장애를 중심으로
2022년 8월 9일 4:46 오후

본 연구에서는 군 복무 부적합 판정을 받고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내재화 및 외현화 장애 환자의 BGT 수행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상 집단 32명과 내재화 장애 집단 36명, 외현화 장애 집단 36명의 BGT 모사단계 수행 결과가 사용되었으며, 채점체계는 Hutt의 정신병리척도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세 집단 간 총 점수와 하위 항목 점수를 비교하였고, 이어 Scheffé의 다중비교법을 이용하여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세 집단 간 정신병리척도의 총점 차이가 유의하였으며, 사후비교 결과 외현화 장애 집단, 내재화 장애 집단, 정상 집단 순으로 점수가 높았다. 그리고 공간사용과 폐쇄곤란, 곡선곤란 하위 항목에서 내재화 장애 집단과 외현화 장애 집단이 정상 집단보다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도형 A의 위치와 교차곤란 하위 항목에서는 내재화 장애 집단이 정상 집단보다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중첩과 퇴영, 도형의 재묘사 하위 항목에서는 외현화 장애 집단이 정상 집단보다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그중 퇴영과 도형의 재묘사 항목에서는 외현화 장애 집단이 내재화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BGT가 군 복무에 부적합한 대상자들을 내재화 및 외현화 체계로 분류하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하는 바이다. 이에 향후 군 당국을 비롯한 관련 기관들에서는 BGT를 활용해 군 복무 적합성 간이 평가나 치료 방향 설정, 임무 배치, 교육과정 등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